시�>

권병준 1999-2016: 디어 시네마 3

Byungjun Kwon 1999-2016: Dear Cinema 3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June 13 - 23, 2018

삐삐롱스타킹, 원더버드, 모조소년 등으로 기억되는, 언더그라운드 음악활동을 했던 권병준의 이미지는 반골일 것이다. 권병준은 한국을 떠나 네덜란드의 실험적 전자악기 연구개발기관인 스타임(STEIM)에서 다른 작가들을 위한 전자악기를 만드는 일을 했고, 귀국 후 사운드와 여러장르가 결합된 퍼포먼스 작업 등으로 활동했다. 새로운 악기를 개발하는 일과 장르 간 경계를 넘나드는 현재의 작업들 속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그의 반골 성향은 상상력을 통해 관습을 거부하는 실험으로 거듭난다. 그러나 퍼포먼스가 지닌 일회성이 부각되다보면 재료가 지닌 깊고 풍부한 요소들은 때로 간과되기 쉽다. 만약 1999년부터 2016년까지 권병준이 틈틈이 만들어놓은 미발표 사운드 작업들을 집중해 들어볼 기회가 있다면, 아마도 우리는 그가 상상하는 음악의 형태와 질감들을 좀더 생생하게 접할 수 있을 것이다. 권병준은 MMCA 필름앤비디오 공간의 특성에 맞춰 그의 미공개 사운드트랙들 중 10개를 선별해 새로 믹싱했다. <모르스 코드에 기반한 현악 사중주곡> (1999)으로 시작해 <타이베이를 위한 노래> (2016)로 끝나는 10개의 트랙에는 앰비언스, 보이스, 여러 악기의 사운드 등이 복합적으로 섞여 있지만 미니멀한 구성으로 인해 개별 사운드의 특성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차갑게 확장되는 공간을 상상하는 <권병준(1999-2016)>은 영상 없이 사운드만으로 영화적 상상이 가능한 시간을 관객에게 선사할 것이다.

플레이리스트

  1. 모르스 코드에 기반한 현악 사중주곡 (1999) 5:16
    정구호 연출, 강혜련 안무 <수류>의 무용음악으로 제작 된 곡이다.
    무용 연습의 감상을 모르스 코드(Morse Code)로 적고 그것을 악보로 환원하여 연주, 이후 편집과 사이드체인(Side Chain), 딜레이(Delay)등의 효과를 주어 완성하였다. 총 4장으로 이뤄진 작품 중 2장의 전반부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에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생들이 연주로 참여하였다.

    String Quartet Based on Morse Code (1999) 5:16
    This was written for a dance piece Flow of Water, directed by Guho Jung, choreographed by Hyeryun Kang. Kwon noted down in Morse code his impressions on a dance practice session then translated them to musical score. The musical score was played, recorded, edited and effects such as ‘side chain’ and ‘delay’ were applied. The first two movements of the entire work consisting of four parts are played. Violins, viola, cello, and contrabass were performed by student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2. 민물고기 (2002) 5:48
    목소리&가야금: 고지연
    가야금 연주자 고지연의 독집 <누운나무>中.
    강태홍류 가야금산조의 마지막 직계 전수자 신명숙 선생님을 인터뷰하기 위해 떠나는 일정으로 시작하여 구음전승의 가치를 깨닫고 이후 본인의 구음을 부르며 100명의 인터뷰와 함께 병행하여 들려주며 마치는 약 25분의 오디오 다큐멘터리 형식의 '민물고기' 중 두번째 파트.

    Fresh Water Fish (2002) 5:48
    Gayageum, Voice: Go Ji-Yeon
    Included in a solo album of gayageum player Jiyeon Koh called A Tree, Lying Down, this piece starts from a story of Jiyeon Koh leaving for an interview with Myungsuk Shin, the last direct bearer of Taehong Kang school of gayageum sanjo (a form of gayageum solo performance). Fresh Water Fish is a twenty-five-minute audio documentary that juxtaposes interviews with one hundred people and the singing of oral notations by Koh. As she travelled to the interviews, she reache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he tradition that sanjo is orally and aurally transmitted. The play list contains the second part of Fresh Water Fish.

  3. e- (2004) 5:12
    노래: 여계숙
    리투아니아의 수도 빌니우스에서 있었던 페스티벌 ELEKTRODIENOS에서 녹음한 공연실황 중에서.

    e- (2004) 5:12
    Live recording: Elektrodienos, Vilnius, Lithuania / Vocal: Ge-suk Yeo
    e- was recorded during a live performance of Kwon and Ge-suk Yeo at the Elektrodienos festival in Vilnius, the capital city of Lithuania.

  4. 낮은 땅 (2005) 5:50
    네덜란드 유학을 떠난 해에 만든 곡으로 불어로 ‘낮은 땅’을 의미하며 네덜란드를 지칭한다.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로 만들어진 파도소리와 타임스트레치(time-stretch)효과로 늘려진 트럼펫 소리를 입체적으로 배치한 곡이다.

    Pays-bas (2005) 5:50
    This was written in the year when Kwon went to the Netherlands to study. The title meaning lowlands in French refers to the Netherlands. Wave sounds created from white noise and trumpet sounds elongated by a time-stretch effect have been arranged three-dimensionally.

  5. Racata (2006) 5:02
    첼로: 야밀라 리오스
    본격적인 라이브 사운드 프로세싱의 시작을 알리는 작업으로 곡의 모든 소리는 첼로 연주의 변형, 재조합된 결과물이다.

    Racata (2006) 5:02
    Cello: Yamila Rios
    With this, Kwon began live sound processing. All sounds in this track are derived from the transformation and re-combination of cello performances.

  6. Mika (2008) 5:20
    그래뉼러 신서시스를 활용한 엠비언스 음악으로 이후 2013년 이디트 헤르만 안무/연출 <into thin air>에 삽입된 곡이다.

    Mika (2008) 5:20
    Ambience music using Granular Synthesis. It was included in a dance performance Into Thin Air which Idit Herman directed and choreographed.

  7. Live at STEIM (2009) 6:48
    피에조 카메라 펜, 눈알을 비추는 고글, 프린터 등 자신이 고안한 새로운 장치들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퍼포먼스 중에서.

    Live at STEIM (2009) 6:48
    This soundtrack is from a live multimedia performance of new instruments that Kwon devised such as a Piezo camera pen, goggles which project light onto the eyes, a printer and more.

  8. 라이브 녹음_호원대학교 (2012) 5:34
    색소폰: 손성제
    교육기자재로 개발한 신디사이져 유신스의 소리를 변형하고 손성제의 색스폰과 함께 프로세싱하여 녹음된 음원이다.

    Live Recording at the Studio in Howon University (2012) 5:34
    Saxophone: Seongje Son
    Kwon transformed sounds from Synthesizer Usynth, developed as an educational apparatus, and went through audio processing with a saxophone set by Seongje Son.

  9. 종(with 맥놀이 주파수) (2015) 4:51
    일어번역 & 나레이션: 김인숙
    인간 문화재이자 성종사의 주철장이신 원광식 선생님과의 협업으로 충청북도 진천의 종박물관에서 12개의 종과 운판을 이용한 사운드 설치작업 ‘흐느끼는 종들’(Sobbing Bells)를 16개 스피커의 입체 음향으로 재구성하여 들려준 히로시마 현대미술관, <불협화음의 하모니>展의 사운드 설치를 극장 음향환경에 맞추어 새롭게 믹스하여 들려준다.

    The Bell (with beat frequencies) (2015) 4:51
    Japanese translation and narration by Insook Kim
    In collaboration with Kwangsik Won, master artisan of casting bronze and human cultural treasure in Korea, the sound piece Sobbing Bells was initially introduced at Jincheon Bell Museum. The sound installation Sobbing Bell sconsisting of twelve bells and ‘Unpan’ (metal boards decorated with cloud patterns) has been reproduced as surround sound with sixteen speakers. This work was presented in the Discordant Harmony exhibition at Hiroshima MOCA and has been remixed according to the acoustic environment of MMCA Film and Video cinema.

  10. 타이베이를 위한 노래 (2016) 8:12
    대만의 타이페이 외곽에 위치한 관두 미술관에서 이어진 <불협화음의 화음>전에서 도시의 원경을 향해 두개의 혼스피커로 들려주었던 음악으로 정시에 한번씩 알람과 함께 타이페이를 향해 울려퍼진다. 피아노를 개조해 만든 ‘하이브리드 피아노’ 만을 이용해 제작된 음악.

    Song for Taipei (2016) 8:12
    Hybrid piano with 2 horn speakers
    Exhibited in the Discordant Harmony exhibition at Kuandu Museum of Fine Arts located in the suburb of Taipei, Taiwan. This was reproduced by two horn speakers pointed towards the distant city center along with a scheduled sounding of alarms. This music was created only using a ‘modified piano’ which Kwon remodeled.

작가: 권병준